설문조사는 논문통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.
만약에 설문조사가 대충 진행되어,
설문의 결과가 엉망이라면, 통계분석은 진행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.
그 상황에서는, 다시 설문조사를 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.
그러므로 좋은 연구결과를 위해서는 설문조사에 공을 드려야 합니다.
설문지는 보통 3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.
1. 설문조사 안내(설문목적과 소개 및 연락처)
2. 설문문항
3. 감사메시지(설문에 응해주셔서 고맙습니다.)
관련 글 보기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통계의 기초인 평균, 분산, 표준편차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측정과 비슷한 단어들 사정, 측정, 평가, 진단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신뢰도, 타당도, 객관도, 실용도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명목척도, 서열척도, 등간척도, 비율척도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BARS & BOS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독립변인, 종속변인, 매개변인, 조절변인, 외생변인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연구모형(단순, 매개효과, 조절효과)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완전매개효과와 부분매개효과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연구주제의 설정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논문작성을 위한 설문조사 팁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논문목차에 따른 통계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필요한 설문 응답자수(표본크기) 계산하기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신뢰도와 타당도 중에 무엇을 먼저 검증해야 하는가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다중공선성(Multicollinearity)이란?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검증하려 했던 효과(조절효과 or 매개효과)가 유의미하지 않아요.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Sobel Test(소벨테스트)로 매개효과 효과성 검증하기
'논문통계 > 통계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필요한 설문 응답자수(표본크기) 계산하기 (9) | 2015.12.11 |
---|---|
논문목차에 따른 통계 (0) | 2015.12.11 |
연구주제의 설정 (4) | 2015.12.11 |
완전매개효과와 부분매개효과 (5) | 2015.12.11 |
연구모형(단순, 매개효과, 조절효과) (30) | 2015.12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