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설을 입증하지 못하여, 유의미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.
유의미하지 않다고 작성하면 됩니다.
다만
나는 어떠한 이유로, 가설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다음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관련 글 보기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통계의 기초인 평균, 분산, 표준편차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측정과 비슷한 단어들 사정, 측정, 평가, 진단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신뢰도, 타당도, 객관도, 실용도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명목척도, 서열척도, 등간척도, 비율척도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BARS & BOS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독립변인, 종속변인, 매개변인, 조절변인, 외생변인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연구모형(단순, 매개효과, 조절효과)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완전매개효과와 부분매개효과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연구주제의 설정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논문작성을 위한 설문조사 팁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논문목차에 따른 통계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필요한 설문 응답자수(표본크기) 계산하기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신뢰도와 타당도 중에 무엇을 먼저 검증해야 하는가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다중공선성(Multicollinearity)이란?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검증하려 했던 효과(조절효과 or 매개효과)가 유의미하지 않아요.
2015/12/11 - [논문통계/통계기초] - Sobel Test(소벨테스트)로 매개효과 효과성 검증하기
'논문통계 > 통계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독스(Google Docs)로 설문지 만들고 설문조사하기 (7) | 2016.04.04 |
---|---|
Sobel Test(소벨테스트)로 매개효과 효과성 검증하기 (24) | 2015.12.11 |
다중공선성(Multicollinearity)이란? (2) | 2015.12.11 |
신뢰도와 타당도 중에 무엇을 먼저 검증해야 하는가 (0) | 2015.12.11 |
필요한 설문 응답자수(표본크기) 계산하기 (9) | 2015.12.11 |